Responsive Advertisement
프로퇴근러
Life after work

유튜버·1인 미디어 세금 완벽 가이드! 사업자 등록부터 부가세·종소세까지

유튜버·1인 미디어 창작자를 위한 세무 가이드. 사업자 등록부터 부가세·종소세·후원금 과세·외국 세금 공제까지 쉽게 정리.

유튜버·1인 미디어 세무 안내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사업자 등록부터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후원금 과세, 외국납부세액 공제까지 초보 크리에이터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

사업자 등록은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

영상 콘텐츠를 계속적·반복적으로 제작하고 수익이 발생하면 사업자등록이 필요합니다. 인력 고용이나 장비·스튜디오 보유 여부에 따라 과세·면세가 나뉩니다.

과세사업자(업종코드 921505): 인력을 고용하거나 전문 장비 또는 스튜디오 등 물적시설을 갖춘 경우.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면세사업자(업종코드 940306): 인력·물적시설 없이 1인이 제작·유통하는 경우. 부가세 신고 의무는 없지만 사업장현황신고를 해야 합니다.

📍 사업자 등록 준비물

  • 신분증
  • 사업자등록 신청서 1부
  • 임대차계약서 사본 (사업장 임차 시)

과세 vs 면세, 그리고 과세유형(일반·간이) 선택

과세 vs 면세 구분

- 과세사업자: 인적고용 또는 물적시설 보유, 부가세 신고 대상

- 면세사업자: 인력·물적시설 없음, 부가세 면제(사업장현황신고 의무)

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

- 일반과세자: 직전 과세기간 매출 1억 400만원 이상 또는 간이과세 배제 업종

- 간이과세자: 직전 과세기간 매출 1억 400만원 미만(배제 업종 제외)

핵심 비교: 세금계산서 발급(일반 O/간이 일부), 매입세액 공제(일반 전액/간이 공급대가×0.5%), 환급(일반 가능/간이 불가)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일정과 계산법

신고·납부 일정

- 일반과세자: 1기(1.1~6.30) 7.1~7.25, 2기(7.1~12.31) 다음 해 1.1~1.25

- 간이과세자: 1.1~12.31 실적을 다음 해 1.1~1.25

- 간이과세자 중 직전연도 공급대가 4,800만원~1억 400만원 미만이고 상반기에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경우 예정신고(7.1~7.25) 필요

세액 계산

- 일반과세자: 납부세액 = 매출세액 - 매입세액

- 간이과세자: 납부세액 = (매출액 × 업종별 부가가치율 × 10%) - (공급대가 × 0.5%) (환급 불가)

영세율(0%): 해외에 제공한 용역 대가(예: 구글 등 해외 사업자에 대한 플랫폼 용역 대가) 요건 충족 시 적용 가능

매출세액·매입세액, 공제 요건 체크

매출세액: 과세기간 공급가액 합계 × 세율(일반 10%, 영세 0%)

매입세액: 사업에 사용된 재화·용역 및 수입에 대한 부가세로, 정규증빙을 갖춰야 공제됩니다.

불공제 사례 (요약)

- 세금계산서 미수취·허위 또는 필요적 기재 누락

- 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부실 기재

- 사업과 직접 관련 없는 매입, 접대비 관련 매입

- 승용차(개별소비세 과세) 구입·임차·유지(일부 업종 제외)

- 면세사업 관련 매입세액, 토지 관련 매입세액

- 사업자등록 전 매입세액(일정 요건 예외)

종합소득세: 신고 시기·장부·경비율

신고 시기: 다음 해 5월 1~31일(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는 6월 30일까지)

기장의무: 간편장부(신규·소득 기준 미만) vs 복식부기(그 외). 증빙과 함께 5년 보관(이월결손금 공제 시 15년)

소득금액 계산: 소득금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추계 신고

- 기준경비율: 수입 - 주요경비 - (수입×기준경비율)

- 단순경비율: 수입 - (수입×단순경비율) (해당 연도 고시율 적용)

간단 예시(단순경비율, 개념 이해용)

- 연 수입 1,200만원, 면세사업자(940306) 단순경비율 64.1% 가정

- 소득금액 = 1,200만 - (1,200만×64.1%) = 431만원 → 세율 6% 적용 후 소액 납부

실무에서는 해당 연도 경비율·공제액·누진공제 등 최신 수치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외국납부세액 공제: 유튜브 해외 원천징수 대응

미국 시청자 매출 등으로 구글이 원천징수한 세액이 있으면, 국내 종합소득세에서 외국납부세액 공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 공식: 공제한도 = 산출세액 × (국외원천소득 / 종합소득금액)

필요서류

- 외국납부세액공제 신청서

- 국가별 외국납부세액공제 명세서(부표1)·소득종류별 명세서(부표2)

- 구글 애드센스 수입 및 원천징수 내역 증빙

후원금·자율구독료도 과세 대상

방송 화면에 계좌를 노출해 받은 후원금·자율구독료 등은 명칭과 관계없이 과세 대상입니다.

- 지속적 활동: 사업소득(정보통신업 등)

- 일시적 활동: 기타소득(인적용역 일시 제공 대가)

사업 관련 무상 수취 자산 등은 총수입금액에 산입될 수 있습니다.

면세사업자의 사업장현황신고

면세 1인 미디어 창작자는 매년 2월 10일까지 전년도 수입과 현황을 신고합니다.

제출 항목(요약): 사업자 인적사항, 업종별 수입금액 명세, 결제 수단별 내역, (세금)계산서 합계표 등

📍 실전 꿀팁

  • 채널 초반엔 면세사업자 여부와 간이과세자 적용 가능성부터 검토하세요.
  • 해외 시청 비중이 크면 영세율 적용 요건을 체크해 부가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후원금·자율구독료도 소득 포함 대상입니다. 누락 시 가산세 위험!
  • 구글 원천

Post a Comment